IT상식2017. 8. 2. 12:04


서버와 인프라를 운용 관리하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용어들을 정리한 호스팅용어 2편입니다.


1. 데이타센터 (IDC)

서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시설의 명칭입니다. 공조, 정전대책, 소화, 지진대책과 같이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가 갖춰저 있습니다.


2. 라운드로빈 (Round Robin)

여러 개의 노드에 대해 순서대로 할당하거나 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하나의 FQDN (전체주소도메인명)에 복수의 A레코드(IP주소)를 할당해서 액세스를 분산하는 "DNS 라운드로빈"이나, 복수의 서버에 순차적으로 요청을 분산하는 로드밸런서의 밸런스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3.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백엔드의 여러 서버로 적절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고성능 가상서버에 준하는 성능을 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부하분산기라고도 합니다.


4. 리소스 (Resource)

CPU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서버가 지닌 하드웨어적인 자원입니다.

예를들면 CPU 사용률이 높은 상태를 "리소스를 잡아먹고 있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5. 메모리 파일시스템 (Memory File System)

하드디스크와 같은 영구기억장치가 아닌 메모리상에 만든 파일시스템입니다. 디스크상의 파일시스템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메모리상에 있기 대문에 재부팅하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반면 읽고 쓰기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6. 부하 (Load)

"부하"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크게 "CPU 부하"와 "I/O 부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하를 계산하기 위한 지표는 Load Average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부하를 계측하기 위한 명령어도 top이나 vmstat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7. 병목 (Bottleneck)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8. 블록되다 (Blocked)

읽기 또는 쓰기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기 위해 다른 처리를 할 수 없는 상태를 "I/O 대기로 블록되어 있다"라고 합니다. 주로 디스크 I/O나 네트워크 I/O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지만 입출력 처리 일반에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9. 서버팜 (Server Farm)

수많은 서버가 모여서 구성된 인프라 시스템을 말합니다. 문맥에 따라서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시설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10.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현재 시장에 있는 거의 모든 "허브"는 리피터 허브(Repeater Hub)가 아니라 브리지 기능을 기닌 스위칭허브입니다. L2스위치 혹은 그냥 스위치라고도 합니다.


11. 스케일 아웃 (Scale-Out)

서버를 여러 대 두고 분산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 하위의 웹 서버의 대수를 두배를 늘리는 것들이 포함됩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