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상식2018. 1. 8. 12:11

IPv6 이야기 그리고 IPv6 영향





왜 IPv6가 이야기 되고 있습니까?


IPv6는 IPv4보다 훨씬 많은 수의 주소를 지원합니다. 

이는 1981년에 IPv4가 구현되고 인터넷이 급격히 성장했으며 사용 가능한 IPv4 주소가 더 이상 없는 점이 현재 이야기 되고, 변화가 일어나고있는 이유입니다.


IPv4, IPv6는 컴퓨터의 IP주소 체계를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IP(Internet Protocol)는 개개의 컴퓨터를 식별할 때 사용되며, IP주소는 중복될 수 없으며, 컴퓨터마다 각각 IP 주소를 가집니다.



IP(Internet Protocol)란 무엇입니까?


IP는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할 기술 형식 과 주소 체계를 지정 합니다.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IP를 목적지와 소스 사이에 가상 연결을 설정하는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라는 상위 프로토콜과 결합 합니다.


IP 자체는 우편 시스템과 같은 것으로 비교 될 수 있습니다. 패키지를 지정하여 시스템에 놓을 수는 있지만 사용자와 수신자간에 직접 연결은 없습니다. 반면에 TCP / IP 는 일정 기간 동안 메시지를 앞뒤로 보낼 수 있도록 두 호스트 사이에 연결을 설정합니다 .





IPv4 그리고 IPv6는 IP의 버전


현재 IP에는 IPv4 와 IPv6 이라는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IPv6은 기존 IPv4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IPv4 란 무엇입니까? 


IPv4는 IP 버전 4를 의미합니다. 우리 사용하고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웹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본 기술입니다. PC 혹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할 때마다 60.70.200.200과 같은 고유 한 숫자 IP 주소가 할당됩니다. IP 주소가 없으면 컴퓨터는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보낼 수 없기 때문에 웹 인프라에 필수적입니다.



IPv6 란 무엇입니까? 


IPv6은 IPv4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PC 혹은 스마트폰 등이 인터넷과 통신하는 데 필요한 고유 한 숫자 IP 주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IPv4와 유사하게 작동합니다. 그러나 IPv6는 128 비트 주소를 사용합니다. 왜 이것이 중요한지 아래의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v4는 인터넷 주소로 32 비트를 사용합니다. 이는 총 2 ^ 32 개의 IP 주소를 지원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약 42 억 9 천만). 그것은 많은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42 억 9 천만 개의 모든 IP 주소가 여러 기관에 배정되었습니다. 물론 아직 IPv4 주소를 다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 사용량에 대한 한계가 보이고 있습니다.


IPv6는 128비트 인터넷 주소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2 ^ 128 개의 IP 주소를 지원합니다. 정확히 340,282,366,920,938,000,000,000,000,000,000,000,000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우 오랫동안 인터넷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주소를 IPv6는 가지고 있습니다.





IPv6가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요? 


처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운영 체제는 실제로 Mac OS X 10.2 및 Windows XP SP 1을 포함하여 IPv6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많은 라우터와 서버는 이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IPv6 주소가 있는 장치와 IPv4 만 지원하는 라우터 또는 서버 간의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 


IPv6 역시 초기 단계에 있으며, 전환 비용이나 소요 시간을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웹이 오늘날과 같이 작동하도록 하려면 점진적으로 변화될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는 1,000여 곳의 대기업 및 스타트업의 IT 서비스 컨설팅, 관리,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매니지드까지 All In On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02-6091-1180(내선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TAG IPv4, IPv6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9. 19. 16:03

매니지드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 그리고 많은 사용자들이 간과하는 부분






기업에서 매지지드 서버호스팅을 사용하다가 클라우드로 전환하거나 스타트업의 경우 시작을 클라우드로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비즈니스의 민첩성을 향상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합니다.


실제 클라우드를 선택하거나 전환으로 이러한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그리고 다른 놓치는 부분은 없을까요?



 

클라우드를 통해 서버호스팅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수요에 따라서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된 서버 자원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사항은 클라우드가 사용된 서버 자원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는 것이 서버호스팅보다 반드시 저렴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 입니다.


 

첫째. 가격 경쟁력


단기간 수백대의 서버를 운영해야 하는 서비스라면 경쟁력이 높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서비스라면 매니지드 서버호스팅을 사용하는 것이 좀더 가격 경쟁력이 높을 수 있습니다.


만약 대용량도 아니라면 서버호스팅 역시 단기간 운영될 수 있도록 호스팅회사가 서버를 구매한 뒤 필요한 기간만큼 임대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서버호스팅이 있으며, VPS도 있습니다.


드롭박스처럼 클라우드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하여 서비스가 커져서 IDC로 옮기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둘째. 기회 비용입니다


이는 결국 비용과 연계됩니다


즉 인프라를 위한 직접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컨트롤 패널을 구성하고 서비스를 함께 연결하는 동안 놓친 기회에 대한 비용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프로비저닝을 한번 수행한 이후 전문엔지니어가 네트워크는 물론 서버, DNS, DDoS등 세밀하게 관리를 한다면 본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24시간 관제를 직접하지 않아도 되어 전체 비용은 줄게 됩니다.

 

셋째. 모든 사람들에게 클라우드가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만약 AWS, Azure 등을 사용해 보셨다면 클라우드는 환상만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사용자들이 간과하거나 놓치는 부분들입니다.


클라우드 관리를 위해 컨트롤 패널을 구성하고, Infra에 대해 고민하는 동안 놓친 기회에 대한 비용은 매니지드 서버호스팅을 받으면서 전담 TC, 전담 엔지니어로부터 맞춤화된 지원을 받으면서 상쇄시킬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9. 5. 16:37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를 선택 할 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세요?





만약에 


서버 1대를 사용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10,000대를 늘려야 하는 사업이라면 클라우드가 적절할 수 있습니다


서버 1대를 사용하다가 서버 10대 혹은 서버 100대를 늘려야 하는 사업이라면 서버호스팅이 적절합니다. 


Tip

서버호스팅과 비교되어 불리우는 클라우드를 명확히 분류하면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클라우드입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형 클라우드 그리고 PaaS(Platform as a Service)형 클라우드와 구별됩니다. 



아래는 그 이유에 대해서 기술합니다.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 모두 완벽한 인프라 환경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서버 관리자의 관점에서 볼 때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는 다소 비슷합니다.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같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합니다. 



클라우드는?


클라우드는 서버를 통한 가상 시스템이며, 가상화 된 서버호스팅 플랫폼입니다.

즉 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에 설치된 물리적 서버로 구성되며, 각 서버들은 병렬로 연결되어 다수의 가상서버를 만들어 호스팅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상 서버를 빠르게 만들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즉시 중지 시킬 수 있습니다.

결국 클라우드는 주문형 셀프 서비스입니다. 일부 기업의 경우 클라우드를 통해 유연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단, 이러한 주문형 셀프 서비스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IT측면에서 고급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꽤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널리 논의되고 있는 다른 부정적인 점은 클라우드는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서버호스팅은?


서버호스팅은 사업의 요구사항에 따라 모든 리소스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물리적 서버입니다.




요구에 가장 적합한 CPU, MEM, 스토리지를 통해 고객은 서버 자원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좀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거나, 기술적인 도움이 필요하면 24시간 서버운영에 필요한 추가 인프라와 기술력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호스팅회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국내에서 서비스 하고 있는 많은 호스팅사들은 OS설치, 모니터링, 장애처리 등에 대해 무료로 기술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서버호스팅 국내에서는 무엇이 다른가?


결국 사용자의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는 가용성과 유연성 그리고 기술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이미 국내의 서버호스팅회사들의 서비스지원 규모와 수준은 클라우드 수준의 가용성과 유연성을 갖춰놓고 있었습니다.



서버호스팅을 사용하면 


클라우드와 같이 수 분내에 호스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HA환경, 웹방화벽 등의 환경을 신속하게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와 달리 엔지니어를 통해 언제나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으며, 24시간 기술지원센터를 통해 모니터링과 장애처리 그리고 컨설팅을 무료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단지 국내에서 서버호스팅과 클라우드의 차이점은 자원의 유연성 면에서 서버호스팅은 서버 1대를 사용하다가 신속히 서버 100대를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은 제공하지만 서버 1대를 사용하다가 신속히 10,000대를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기는 어렵다는게 이론적인 부분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자원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면 사용자와의 가격 및 정책적인 이슈들을 논의하는 단계가 있어 클라우드 역시 현실에서는 신속한 제공은 어렵습니다. 


클라우드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하지만 모든 온라인서비스에, 그리고 국내의 서버호스팅의 수준과 비교한다면 정답은 아닙니다. 


따라서 자원 활용의 유연성과 함께 기술지원의 유연성을 살펴보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11. 14:59

MPLS VPN : SD-WAN 비용과 성능 비교



연속성과 비용을 고려할 때 MPLS VPN와 SD-WAN 어떤 판단을 해야 할까요?




사설망이 필요한 기업들에게 SDWAN은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지만 빠른 속도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통신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MPLS VPN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 서비스 변경에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에 반하여 SDWAN은 저렴한 비용으로 사설망을 구축할 수 있고 안정적인 가용성에 암호화까지 지원하여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SD-WAN이란 무엇인가?




SDWAN은 기존의 비싼 MPLS VPN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저렴한 초고속 인터넷 회선을 이용해, 기업이 사설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일련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먼저 SDWA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어를 이해 해야합니다.





-WAN의 이해


WAN은 네트워크가 흘러가는 경로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WAN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LAN : WAN으로 구분하면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사무실이나 빌딩 안 등 비교적 좁은 범위이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LAN끼리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네트워크 입니다.


-SDWAN의 이해


SD-WAN은 Software-Defined WAN의 약어인데 사전적 정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네트워크 경로 설정과 제어 및 복잡한 운용관리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을 말합니다.

SDN (Software Defined Network)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이해해도 됩니다. SDN이 Internet Data Center내에 구성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라 한다면 SD WAN은 데이터센터간 혹은 국내 해외간 전송되는 WAN구간에 Software Defined 개념이 추가 된 것입니다. 

즉 WAN구간에 SDN개념이 적용된 것을 SD-WAN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신뢰성 연속성 비용을 고려할 때 MPLS VPN와 SDWAN 어떤 판단을 해야 할까요?





안정적인 가용성, 서비스품질, 네트워크보안, 사이트 연결성 네가지의 기준으로 판단을 해보려 합니다. 


첫째. 안정적인 가용성


-MPLS


일반적으로 MPLS 네트워크 자체가 공유 인프라이므로 패킷을 안정적으로 전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PLS네트워크는 공유 매체이기 때문에 대역 폭 및 라우터와 같은 공유 리소스를 사용하여 유휴 시간 동안 패킷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MPLS 공급자는 주어진 기간에 패킷이 떨어질 수 있는 패킷의 비율에 대한 SLA를 가지고 있습니다.


-SDWAN


인터넷 및 모든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달을 향상시킵니다

링크에서 패킷 손실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손실을 줄이면서 간단하게 트래픽을 라우팅 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손실이 여전히 두 링크 모두에 존재 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도구 인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가 있습니다.

FEC는 패킷 용 RAID라고 볼 수 있습니다.

패킷을 전송할 때는 패킷을 혼합 패킷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패킷 전송 중에 손실되면 수신 사이트에서 손실 된 패킷을 간단히 재구축 할 수 있어 패킷의 전달과 품질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FEC가 기본 패킷의 손실에 관계없이 모든 패킷의 일관된 전달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둘째. 보안 


-MPLS


보안 관점에서 볼 때 MPLS는 패킷과 같이 고유 한 레이블이 추가되어 인터넷과 같은 공유 매체 인 경우에도 안전하다고 간주됩니다. 해당 태그를 보고있는 MPLS 노드만 MPLS 경로에 포함 된 패킷을 읽을 수 있습니다


-SDWAN


MPLS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지 않는 한 암호화 되지 않습니다 .

인터넷을 통한 보안은 SDWAN으로 손쉽게 처리 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인터넷상에서 VPN을 구축함으로써 대부분의 장치에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셋째. 사이트간 연결성


-MPLS


엔터프라이즈 급 사이트 간 연결성은 단순성 때문에 MPLS의 장점입니다.


-SDWAN


인터넷 관점에서, 구성은 좀 더 복잡하지만, SDWAN은 MPLS서비스보다 더 단순하고 훨씬 더 빠릅니다. 

만약 Managed MPLS 서비스가 아닌 일반 MPLS라면 IT 장비를 직접 구성해야합니다. 그러나 SDWAN을 사용하면 이 프로세스가 더 빠를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필요에 맞게 회선을 구성 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선택은


QOS(Quality of Service) 설정이 큰 폭으로 단순화되며, 패킷 손실을 방지하고, 보안에 있어 암호화되어 있는 확인해본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8. 13:41

스케줄링 알고리즘



 

실서버를 분산처리 할 때 동일하게 분산하면 사양이 서로 다른 서버가 혼재하는 환경에서는 한쪽으로 부하가 몰릴 수 있습니다. IPVS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환경에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 가능 합니다.

 

실서버에는 각각에 가중치 수치 파라미터를 지정 가능합니다. 알고리즘에 따라 가중치가 높을 수록 처리능력이 높은 서버로 여겨 분산비율을 조정해주기도 합니다.

 

아래 스키줄링 알고리즘을 통해 실서버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스케줄링 알고리즘


1. Round Robin Scheduling, RR - 실서버를 차례대로 선택하여 모든 서버로 동일하게 분산됩니다.

프로세들 사이에 우선순위가 아닌 시간단위로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2. Weighted Round Robin, WRR – round-robin과 동일하지만 가중치를 주어 서비스되는 패킷 수가 가중치에 비례하게 됩니다. 가중치를 계산하여 분산비율을 변경하여, 가충치가 높은 서버일수록 자주 선택되므로 처리 능력이 높은 서버의 가중치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Least Connection, LC – 접속수가 가장 적은 서버를 선택합니다.

4. Weighted Least Connection, WLC – 기본적으로 Least Connection과 동일합지만 Round Robin방식과 마찬가지로 가중치를 더합니다.

5. Shortest Expected Delay, SED – 예상되는 응답속도가 가장 빠른 서버를 선택합니다.

6. Never Queue, NQ – 접속수가 작은 유휴서버에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7. 13:24

IPVS  (리눅스로 로드밸런서 구성)




리눅스 OS는 특별히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라우터(네트워크 장비)로서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방화벽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히 실제 운용 가능한 패킷필터링 기능 등 매우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많이 내장하고 있습니다. 


IPVS (IP Virtual Server)라는 부하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로드밸런서의 종류와 IPVS의 기능


로드밸런서에는 크게 나눠서 L4스위치와 L7스위치 두 종류가 있습니다.


L4 스위치는 트랜스포트 계층까지의 정보를 분석하므로 IP주소나 포트번호에 따라 분산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L7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의 정보를 분석하므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URL에 따라 분산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IPVS에 내장되어 있는 것은 "L4스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입니다. L7스위치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단순히 로드밸런서라고 하면 "L4스위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4. 14:18

DNS 라운드로빈과 로드밸런서의 차이




로드밸런서(부하분산기)는 IP주소에 대해 요청을 복수의 서버로 분산할 수 있습니다. DNS 라운드로빈에서는 웹 서버마다 다른 글로벌 주소를 할당할 필요가 있었지만 로드밸런서를 이용하면 글로벌 주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DNS 라운드로빈에서는 웹 서버측면에서 연구해서 다중화 구성을 했지만 로드밸런서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로드밸런서의 동작

로드밸런서는 서비스용 글로벌 주소를 가진 가상적인 서버(이하 가상서버)로서 동작합니다.

그리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어 온 요청을 실제 웹서버(이하 리얼서버)로 중계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웹서버 인것처럼 작동합니다.


-로드밸런서의 기능

로드밸런서는 여러 대의 리얼서버 중에 한 대를 선택해서 처리를 중계합니다. 이 때 헬스체크가 실패하는 서버는 선택되지 않고 반드시 헬스체크가 성공한 서버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특정 서버 한 대가 정지해 있더라도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서버가 있는 한 서비스가 정지하지 않습니다.


-로드밸런서의 도입장벽

"로드밸런서=고가의장비"라는 이미지나 "제대로 운용할 수 있을까 걱정"과 같은 불안감이 도입장벽이 됩니다. 


세 번째에서 언급한 도입장벽에 대해서는 확실히 어플라이언스 제품은 비교적 고가로 월 유지보수 비용도 들어갑니다. 또한 운용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개발의 지원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펌웨어 업데이트 등도 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계약을 끊어 운용비용을 줄일 수도 없습니다. 어느 정도 수익이 확보될 때까지 로드밸런서 도입을 단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플라이언스 제품을 이용하지 않고 Open Source Software로 구축해서 스스로 운영해가는 선택방법도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3. 14:43

서버와 인프라를 운용 관리하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용어들을 정리한 호스팅용어 3편입니다. 



1. 스케일 업 (Scale-up)

단일 서버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입니다.

예를들면 서버의 메모리를 증설하거나 보다 고성능의 기종으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2. 스테이징 환경 (Staging Environment)

실 서비스에 투입하기 전에 최종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환경을 말합니다.


3. 장애극복 (Failover)

다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인 노드(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이 정지했을 때 자동적으로 Backup 노드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전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위치오버"라고 합니다. 


4. 전송량 (Throughput)

네트워크와 같이 데이터통신 측면에서 사용할 경우, 단위시간당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말하면 "같은 자동차라도 F1 머신보다 버스가 승차가능인원이 많으므로 전송량이 크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지연시간 (Latency)

네트워크와 같이 데이터통신 측면에서 사용할 경우, 데이터가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말하면 "같은 자동차라도 F1 머신이 속도가 빠르므로 지연시간이 작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콘텐츠 (Contents)

웹서비스와 관련해서 사용할 경우,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 반환하는 HTML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특히 정적 콘텐츠라고 하면 내용이 변화하지 않는 HTML이나 이미지 등을 가리키고, 동적 콘텐츠는 매 요청마다 내용이 다른 데이터를 가리킵니다. 또한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동적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측 프로그램을 일컬어 "동적 콘텐츠"라 하기도 합니다.


7. 패킷 (Packet)

주로 IP(Internet Protocol)에서 데이터의 최소단위 묶음을 의미합니다. IP패킷이라고도 합니다.


8. 페일백 (Failback)

Active 노드가 정지한 후 장애극복된 상태에서 원래의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것입니다.


9. 프레임 (Frame)

주로 이더넷에서 데이터의 최소단위 묶음을 의미합니다. 이더넷 프레임이라고도 합니다.


10. 확장성 (Scalability)

이용자나 규모가 증대됨에 따라 시스템을 확장해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11. 헬스체크 (Health Check)

감시대상이 정상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웹서버에 대해 ping이 가는지, TCP 80번 포트로 접속할 수 있는지, HTTP 응답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2. 12:04


서버와 인프라를 운용 관리하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용어들을 정리한 호스팅용어 2편입니다.


1. 데이타센터 (IDC)

서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시설의 명칭입니다. 공조, 정전대책, 소화, 지진대책과 같이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가 갖춰저 있습니다.


2. 라운드로빈 (Round Robin)

여러 개의 노드에 대해 순서대로 할당하거나 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하나의 FQDN (전체주소도메인명)에 복수의 A레코드(IP주소)를 할당해서 액세스를 분산하는 "DNS 라운드로빈"이나, 복수의 서버에 순차적으로 요청을 분산하는 로드밸런서의 밸런스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3.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백엔드의 여러 서버로 적절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고성능 가상서버에 준하는 성능을 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부하분산기라고도 합니다.


4. 리소스 (Resource)

CPU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서버가 지닌 하드웨어적인 자원입니다.

예를들면 CPU 사용률이 높은 상태를 "리소스를 잡아먹고 있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5. 메모리 파일시스템 (Memory File System)

하드디스크와 같은 영구기억장치가 아닌 메모리상에 만든 파일시스템입니다. 디스크상의 파일시스템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메모리상에 있기 대문에 재부팅하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반면 읽고 쓰기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6. 부하 (Load)

"부하"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크게 "CPU 부하"와 "I/O 부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하를 계산하기 위한 지표는 Load Average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부하를 계측하기 위한 명령어도 top이나 vmstat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7. 병목 (Bottleneck)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8. 블록되다 (Blocked)

읽기 또는 쓰기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기 위해 다른 처리를 할 수 없는 상태를 "I/O 대기로 블록되어 있다"라고 합니다. 주로 디스크 I/O나 네트워크 I/O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지만 입출력 처리 일반에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9. 서버팜 (Server Farm)

수많은 서버가 모여서 구성된 인프라 시스템을 말합니다. 문맥에 따라서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시설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10.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현재 시장에 있는 거의 모든 "허브"는 리피터 허브(Repeater Hub)가 아니라 브리지 기능을 기닌 스위칭허브입니다. L2스위치 혹은 그냥 스위치라고도 합니다.


11. 스케일 아웃 (Scale-Out)

서버를 여러 대 두고 분산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 하위의 웹 서버의 대수를 두배를 늘리는 것들이 포함됩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1. 13:50


서버, 그리고 인프라를 다루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고 다양한 용어를 사용합니다.

호스팅서비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P서버 (Application Server)

애플리케이션 서버 즉 동적 콘텐츠를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예를들어 Apache + mod+perl이 동작하는 웹 서버나 Tomcat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서버입니다.


2.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전송성능향상과 가용헝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캐시 서버 중에 클라이언트에 보다 가까운 개시 서버를 선택해서 전송함으로써 성능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IPVS (IP Virtual Server)

LVS(Linux Virtual Server)프로젝트의 성과물로 로드밸런서에 불가결한 "부하분산"기능을 실현합니다.


4. VIP (Virtual IP Address)

물리적인 서버나 NIC가 아니라 유동적인 서비스나 역할에 할당된 IP주소를 말합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IP주소를 VIP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IP주소는 HTTP 등의 서비스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며, 또한 다중화를 위해 Active/Backup 구성을 할 경우에는 유일한 마스터가 되는 Active측의 로드밸런서가 이 IP를 인계하기 때문이다.

가상주소, 가상IP주소라고도 한다.


5. 가용성 (Availability)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음을 뜻합니다. "가용성이 높다"라고 하면 "해당 서비스는 거의 멈추지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문맥에 따라서는 "가동률이 높다"거나 "연중 가동시간이 길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6. 다중화 (Redundancy)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여러 개 배치해서 하나가 고장 나서 정지해도 바로 교체해서 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RAID가 그 전형적인 예이며, 이중화라고도 합니다.


7. 네트워크 부트 (Network Boot)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에 필요한 부트로더나 커널 이미지 등을 전달받아 기동하는 것입니다.


8. 네트워크 세그먼트 (Network Segment)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전달되는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9. 단일장애점 (Single Point of Failure)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가 정지해버리는 곳입니다. 말하자면 시스템의 급소 SPOF(Single Point of Failure)라고도 합니다. 예를들면 RAID나 전원과 같은 서버 내의 요소를 아무리 다중화 하더라도 모든 서버가 한대의 스위칭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면 시스템 전체를 볼 때 그 스위치는 단일 장애점이 됩니다.


10. 데몬 (Daemon)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들어 httpd나 bind등이 있습니다.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호스트는 네트워크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성과 성능을 유지하고 최대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시스템 관리자가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비용절감 및 확장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