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상식2017. 8. 7. 13:24

IPVS  (리눅스로 로드밸런서 구성)




리눅스 OS는 특별히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라우터(네트워크 장비)로서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방화벽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히 실제 운용 가능한 패킷필터링 기능 등 매우 강력한 네트워크 기능을 많이 내장하고 있습니다. 


IPVS (IP Virtual Server)라는 부하분산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로드밸런서의 종류와 IPVS의 기능


로드밸런서에는 크게 나눠서 L4스위치와 L7스위치 두 종류가 있습니다.


L4 스위치는 트랜스포트 계층까지의 정보를 분석하므로 IP주소나 포트번호에 따라 분산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L7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의 정보를 분석하므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URL에 따라 분산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IPVS에 내장되어 있는 것은 "L4스위치에 해당하는 기능"입니다. L7스위치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단순히 로드밸런서라고 하면 "L4스위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4. 14:18

DNS 라운드로빈과 로드밸런서의 차이




로드밸런서(부하분산기)는 IP주소에 대해 요청을 복수의 서버로 분산할 수 있습니다. DNS 라운드로빈에서는 웹 서버마다 다른 글로벌 주소를 할당할 필요가 있었지만 로드밸런서를 이용하면 글로벌 주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DNS 라운드로빈에서는 웹 서버측면에서 연구해서 다중화 구성을 했지만 로드밸런서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로드밸런서의 동작

로드밸런서는 서비스용 글로벌 주소를 가진 가상적인 서버(이하 가상서버)로서 동작합니다.

그리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어 온 요청을 실제 웹서버(이하 리얼서버)로 중계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웹서버 인것처럼 작동합니다.


-로드밸런서의 기능

로드밸런서는 여러 대의 리얼서버 중에 한 대를 선택해서 처리를 중계합니다. 이 때 헬스체크가 실패하는 서버는 선택되지 않고 반드시 헬스체크가 성공한 서버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특정 서버 한 대가 정지해 있더라도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서버가 있는 한 서비스가 정지하지 않습니다.


-로드밸런서의 도입장벽

"로드밸런서=고가의장비"라는 이미지나 "제대로 운용할 수 있을까 걱정"과 같은 불안감이 도입장벽이 됩니다. 


세 번째에서 언급한 도입장벽에 대해서는 확실히 어플라이언스 제품은 비교적 고가로 월 유지보수 비용도 들어갑니다. 또한 운용 중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개발의 지원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펌웨어 업데이트 등도 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계약을 끊어 운용비용을 줄일 수도 없습니다. 어느 정도 수익이 확보될 때까지 로드밸런서 도입을 단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플라이언스 제품을 이용하지 않고 Open Source Software로 구축해서 스스로 운영해가는 선택방법도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