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사업을 하고 있거나 End-User가 해외에 있다면 해외호스팅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즉 고객이 일본에 있다면 일본호스팅 혹은 일본서버호스팅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이유를 간략하게 말하면접속지연 문제와 함께
스팸 등으로 등록되어
접속 자체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서입니다.
그렇다면 접속지연이 어떤 영향을 초래할까요?
접속지연으로 인한 영향은 Google과 Amazon의 리포트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Google의 보고서를 통해
100~400밀리초에 불과한 사이트 접속대기 시간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Amazon은 접속대기 시간이 100밀리초 추가될 때마다 1%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글로벌호스트가 일본호스팅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데이터센터는
지형적으로 동서로 길게 되어 있는일본의 지리적 특성에 맞게 IT인프라를 균형있게 분산할 수 있도록도쿄도를 중심으로 동일본과 서일본의 지역에 메가 거점을 두고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직선거리 약 320Km의 거리보다 먼 도쿄에서 오사카의 직선거리 약 400Km를 10밀리초 이내의 빠른 접속/응답 대용량이면서 고속의 네트워크로 연결합니다.
▣일본 IDC 소개영상
▣ 글로벌호스트의 일본 백본
글로벌호스트의 일본 백본 네트워크는 일본 국내의 주요 IX, ISP와 연결되어 있으며, 완전 이중화 구성으로 높은 가용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트래픽 양에 따라 1Mbps~10Gbps의 폭 넓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빠르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 재난/장애로부터의 보호 및 백본 강화
글로벌호스트 일본IDC는 태평양을 따라 펼쳐지는 시라카와-오사카 네트워크 루트 외에도 도교도를 우회하는 일본 해를 따라가는 루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강력한 재난의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통신을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을 사용하여 재난이나 장애로 인해 기본 사이트가 영향을 받는 경우 여러 데이터 센터간에 부하를 분산 시키거나 시스템을 자동으로 백업사이트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호스트 IDC의 일본 동서로 펼쳐진 데이터센터 거점
1)서일본 최대급의 후쿠오카 현 기타큐슈시 데이터센터
모듈 방식을 이용하여 항상 최첨단 기술을 도입 할 수있는 환경 대응 형 차세대 데이터 센터입니다. 에어컨 효율 최적화를 추구함으로써 고집적 서버의 최적 운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높은 에너지 절약 효과를 제공합니다.
기타큐슈 데이터센터 VR 투어
2)Yahoo JAPAN 동일본 지역 최대거점 시라카와 데이터센터
후쿠시마 현 시라카와시에 새롭게 가동을 시작한 '시라카와 데이터 센터'는 시원한 기후를 살린 최신 외기 공조 방식과 수냉 공조 방식을 조합 한 환경 대응 형 대규모 데이터 센터입니다.
네트워크 속도는 도쿄 근교 수준. 수도권에서 3.5 밀리초 이내입니다.
3)아리아케 데이터센터
광역적인 방재 거점으로 안전한 임해 부도심 지역에 입지. 지진 등의 대규모 재해시에도 대응할 만반의 방재 기능을 갖춘 데이터 센터입니다
4)신천 데이터센터
오 테마 치, 니혼 바시 투구 도시 등 비즈니스 지구에서 가까운 위치합니다.
5)신주쿠 데이터센터
도심의 사무실에서의 사용이나 빠른 작업시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매우 편리한 입지 조건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센터에 출입하여 유지 보수 작업 등이 많은 고객에게 기능면 · 효율면에서 최적의 환경입니다.
6)니혼바시 데이터센터
오 테마 치, 마루 노우치 등 사업 영역의 중심에서 10 분 거리로 뛰어난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 구내의 경우 IX와 직접 연결. 원활한 네트워크 환경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7)요코하마 데이터센터
요코하마 베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요코하마 중심가서 접근도 편리합니다.
8)스이타 데이터센터
간사이 지역의 주요 데이터 센터입니다.
오사카 중심부의 비즈니스 지역에서 약 5km 편리함있는 매력적인 입지. 방재 상 우위 인 강력한 지반 지역에 건설되었습니다.
일본은 홍콩과 더불어 북미, 동북아시아에서 동남아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허브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 통신사들은 일본과 대용량 해저케이블로 연결해 놓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 한국간의 네트워크의 품질은 좋습니다.
통상적으로 대용량 해저케이블을 광고하는 호스팅 업체가 있기는 한데, 해저케이블의 설비는 통신사 조차도 글로벌케이블 회사로 부터 부분적으로 임대를 받고 있어, 호스팅 업체가 해저케이블 광고를 하는 것은 KT나 NTT등의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IDC에 입주하고 있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됩니다.
동남아나 미국으로 전송되는 미디어, 파일다운로드, CDN등의 서비스를 일본 IDC를 활용하여 이용하는 것이 비용적인면이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KT, SK, LG 는 국제망 과금을 별도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국제망 과금을 염두해 둔다고 하면, 비용적인 측면에서 일본 IDC활용은 좋은 대안이 됩니다.
일본을 통해 중간에 캐싱처리를 한다면 대용량 파일은 한국서버쪽에서 처리되지 않고, 바로 일본에서 처리가 됩니다.
캐싱의 경우 글로벌호스트가 설치, 설정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Nginx, Squid ...)
또한 별도의 CDN솔루션을 사용하실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CDN서비스를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의 일본 존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가상서버
- 일본서버호스팅
- 일본CDN
- 디도스 방어
글로벌가속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속의 효과는 대용량 파일이나 미디어파일을 최대 500% 이상 속도향상, 최종엔드유저까지 가속을 하기 때문에
Wifi나 3G나 LTE환경에서 최종 단말까지 가속이 되기 때문에, 최종 엔드유저의 속도 체감이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