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그리고 인프라를 다루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고 다양한 용어를 사용합니다.
호스팅서비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P서버 (Application Server)
애플리케이션 서버 즉 동적 콘텐츠를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예를들어 Apache + mod+perl이 동작하는 웹 서버나 Tomcat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서버입니다.
2.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전송성능향상과 가용헝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캐시 서버 중에 클라이언트에 보다 가까운 개시 서버를 선택해서 전송함으로써 성능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IPVS (IP Virtual Server)
LVS(Linux Virtual Server)프로젝트의 성과물로 로드밸런서에 불가결한 "부하분산"기능을 실현합니다.
4. VIP (Virtual IP Address)
물리적인 서버나 NIC가 아니라 유동적인 서비스나 역할에 할당된 IP주소를 말합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IP주소를 VIP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IP주소는 HTTP 등의 서비스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며, 또한 다중화를 위해 Active/Backup 구성을 할 경우에는 유일한 마스터가 되는 Active측의 로드밸런서가 이 IP를 인계하기 때문이다.
가상주소, 가상IP주소라고도 한다.
5. 가용성 (Availability)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음을 뜻합니다. "가용성이 높다"라고 하면 "해당 서비스는 거의 멈추지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문맥에 따라서는 "가동률이 높다"거나 "연중 가동시간이 길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6. 다중화 (Redundancy)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여러 개 배치해서 하나가 고장 나서 정지해도 바로 교체해서 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RAID가 그 전형적인 예이며, 이중화라고도 합니다.
7. 네트워크 부트 (Network Boot)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에 필요한 부트로더나 커널 이미지 등을 전달받아 기동하는 것입니다.
8. 네트워크 세그먼트 (Network Segment)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전달되는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9. 단일장애점 (Single Point of Failure)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가 정지해버리는 곳입니다. 말하자면 시스템의 급소 SPOF(Single Point of Failure)라고도 합니다. 예를들면 RAID나 전원과 같은 서버 내의 요소를 아무리 다중화 하더라도 모든 서버가 한대의 스위칭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면 시스템 전체를 볼 때 그 스위치는 단일 장애점이 됩니다.
10. 데몬 (Daemon)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들어 httpd나 bind등이 있습니다.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호스트는 네트워크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성과 성능을 유지하고 최대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시스템 관리자가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비용절감 및 확장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IT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로드밸런서의 종류와 IPVS의 기능 정리 (0) | 2017.08.07 |
---|---|
DNS 라운드로빈과 로드밸런서의 차이는 무엇인가? (0) | 2017.08.04 |
효율적인 서버관리를 위한 알아두면 편리한 호스팅 용어 (3편) (0) | 2017.08.03 |
효율적인 서버관리를 위한 알아두면 편리한 호스팅 용어 (1편) (0) | 2017.08.02 |
http, https 그리고 www 차이점은 무엇인가? (0) | 2017.07.27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