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상식2017. 8. 3. 14:43

서버와 인프라를 운용 관리하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용어들을 정리한 호스팅용어 3편입니다. 



1. 스케일 업 (Scale-up)

단일 서버의 성능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입니다.

예를들면 서버의 메모리를 증설하거나 보다 고성능의 기종으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2. 스테이징 환경 (Staging Environment)

실 서비스에 투입하기 전에 최종적인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환경을 말합니다.


3. 장애극복 (Failover)

다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인 노드(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이 정지했을 때 자동적으로 Backup 노드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아울러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전환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위치오버"라고 합니다. 


4. 전송량 (Throughput)

네트워크와 같이 데이터통신 측면에서 사용할 경우, 단위시간당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말하면 "같은 자동차라도 F1 머신보다 버스가 승차가능인원이 많으므로 전송량이 크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지연시간 (Latency)

네트워크와 같이 데이터통신 측면에서 사용할 경우, 데이터가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말하면 "같은 자동차라도 F1 머신이 속도가 빠르므로 지연시간이 작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콘텐츠 (Contents)

웹서비스와 관련해서 사용할 경우,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 반환하는 HTML이나 이미지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특히 정적 콘텐츠라고 하면 내용이 변화하지 않는 HTML이나 이미지 등을 가리키고, 동적 콘텐츠는 매 요청마다 내용이 다른 데이터를 가리킵니다. 또한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동적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서버측 프로그램을 일컬어 "동적 콘텐츠"라 하기도 합니다.


7. 패킷 (Packet)

주로 IP(Internet Protocol)에서 데이터의 최소단위 묶음을 의미합니다. IP패킷이라고도 합니다.


8. 페일백 (Failback)

Active 노드가 정지한 후 장애극복된 상태에서 원래의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것입니다.


9. 프레임 (Frame)

주로 이더넷에서 데이터의 최소단위 묶음을 의미합니다. 이더넷 프레임이라고도 합니다.


10. 확장성 (Scalability)

이용자나 규모가 증대됨에 따라 시스템을 확장해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11. 헬스체크 (Health Check)

감시대상이 정상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웹서버에 대해 ping이 가는지, TCP 80번 포트로 접속할 수 있는지, HTTP 응답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2. 12:04


서버와 인프라를 운용 관리하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 용어들을 정리한 호스팅용어 2편입니다.


1. 데이타센터 (IDC)

서버 등의 기기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용시설의 명칭입니다. 공조, 정전대책, 소화, 지진대책과 같이 24시간 365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가 갖춰저 있습니다.


2. 라운드로빈 (Round Robin)

여러 개의 노드에 대해 순서대로 할당하거나 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면 하나의 FQDN (전체주소도메인명)에 복수의 A레코드(IP주소)를 할당해서 액세스를 분산하는 "DNS 라운드로빈"이나, 복수의 서버에 순차적으로 요청을 분산하는 로드밸런서의 밸런스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


3.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해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백엔드의 여러 서버로 적절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여러 서버를 묶어서 하나의 고성능 가상서버에 준하는 성능을 내기 위한 장치입니다. 부하분산기라고도 합니다.


4. 리소스 (Resource)

CPU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 서버가 지닌 하드웨어적인 자원입니다.

예를들면 CPU 사용률이 높은 상태를 "리소스를 잡아먹고 있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5. 메모리 파일시스템 (Memory File System)

하드디스크와 같은 영구기억장치가 아닌 메모리상에 만든 파일시스템입니다. 디스크상의 파일시스템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메모리상에 있기 대문에 재부팅하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반면 읽고 쓰기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6. 부하 (Load)

"부하"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크게 "CPU 부하"와 "I/O 부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하를 계산하기 위한 지표는 Load Average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부하를 계측하기 위한 명령어도 top이나 vmstat 등 몇가지가 있습니다.


7. 병목 (Bottleneck)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8. 블록되다 (Blocked)

읽기 또는 쓰기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기 위해 다른 처리를 할 수 없는 상태를 "I/O 대기로 블록되어 있다"라고 합니다. 주로 디스크 I/O나 네트워크 I/O에 대해 사용되는 용어지만 입출력 처리 일반에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9. 서버팜 (Server Farm)

수많은 서버가 모여서 구성된 인프라 시스템을 말합니다. 문맥에 따라서는 데이터센터와 같은 시설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10.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현재 시장에 있는 거의 모든 "허브"는 리피터 허브(Repeater Hub)가 아니라 브리지 기능을 기닌 스위칭허브입니다. L2스위치 혹은 그냥 스위치라고도 합니다.


11. 스케일 아웃 (Scale-Out)

서버를 여러 대 두고 분산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 하위의 웹 서버의 대수를 두배를 늘리는 것들이 포함됩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

IT상식2017. 8. 1. 13:50


서버, 그리고 인프라를 다루는 호스팅서비스는 네트워크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범위가 넓고 다양한 용어를 사용합니다.

호스팅서비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P서버 (Application Server)

애플리케이션 서버 즉 동적 콘텐츠를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예를들어 Apache + mod+perl이 동작하는 웹 서버나 Tomcat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서버입니다.


2.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전송성능향상과 가용헝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 세계에 존재하는 캐시 서버 중에 클라이언트에 보다 가까운 개시 서버를 선택해서 전송함으로써 성능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 IPVS (IP Virtual Server)

LVS(Linux Virtual Server)프로젝트의 성과물로 로드밸런서에 불가결한 "부하분산"기능을 실현합니다.


4. VIP (Virtual IP Address)

물리적인 서버나 NIC가 아니라 유동적인 서비스나 역할에 할당된 IP주소를 말합니다.

예를들면 로드밸런서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IP주소를 VIP라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IP주소는 HTTP 등의 서비스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며, 또한 다중화를 위해 Active/Backup 구성을 할 경우에는 유일한 마스터가 되는 Active측의 로드밸런서가 이 IP를 인계하기 때문이다.

가상주소, 가상IP주소라고도 한다.


5. 가용성 (Availability)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음을 뜻합니다. "가용성이 높다"라고 하면 "해당 서비스는 거의 멈추지 않는다"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문맥에 따라서는 "가동률이 높다"거나 "연중 가동시간이 길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6. 다중화 (Redundancy)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여러 개 배치해서 하나가 고장 나서 정지해도 바로 교체해서 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RAID가 그 전형적인 예이며, 이중화라고도 합니다.


7. 네트워크 부트 (Network Boot)

네트워크를 통해 부팅에 필요한 부트로더나 커널 이미지 등을 전달받아 기동하는 것입니다.


8. 네트워크 세그먼트 (Network Segment)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전달되는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9. 단일장애점 (Single Point of Failure)

장애가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가 정지해버리는 곳입니다. 말하자면 시스템의 급소 SPOF(Single Point of Failure)라고도 합니다. 예를들면 RAID나 전원과 같은 서버 내의 요소를 아무리 다중화 하더라도 모든 서버가 한대의 스위칭 허브에 연결되어 있다면 시스템 전체를 볼 때 그 스위치는 단일 장애점이 됩니다.


10. 데몬 (Daemon)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들어 httpd나 bind등이 있습니다. 


호스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글로벌호스트는 네트워크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성과 성능을 유지하고 최대한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시스템 관리자가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비용절감 및 확장성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와 상담하시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호스트 : www.globalhost.co.kr

전화문의 : 02-6091-1180 (내선: 1)



Posted by 글로벌호스트

댓글을 달아 주세요